KBSI 연구장비공동활용 장비상세조회
네비게이션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기기검색

장비 상세조회

OSL 자동측정장비
Automated OSL Spectrometer System

분석장비 상세내역
영문약어 OSL
장비명(한글) OSL 자동측정장비 
기기코드 AI72
연구장비표준분류
기기상태 양호 
AI72.jpg

부서 및 장비담당자

부서 및 장비담당자
지역 오창센터 
주소 (28119)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오창읍 연구단지로 162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보유센터 및 부서 오창본원 연구장비운영부 
장비담당자 허서영  최정헌  
전화   ◀ 전화기 아이콘을 누르시면 전화번호를 볼 수 있습니다.
팩스  
메일  

Spec 및 활용분야

Spec 및 활용분야
원리 및 특징
    물질내에 포함된 방사선량을 측정하여, 그 물질이 햇빛 또는 열에 마지막으로 노출된 시기로부터 경과된 시간을 측정
구성 및 성능
    ○ Glow-oven (Max. 700cm2)

    ○ Sample changer (48 discs at max.)

    ○ Optical Stimulation
    - IR LED > 500 mW/cm2
    - blue LED > 28 mW/cm2
    - Near UV light
    - Green Laser for single grain dating

    ○ Radiation Source
    - Beta irradiator : Sr-90 49 mCi

    ○ TL/OSL control & function software

    ○ Pulsed OSL measurements

    ○ Single grain OSL 0
활용분야
    ○ 제4기 퇴적층, 고고유적물 및 유물 출토층의 연대측정
    ○ 도자기, 토기의 진위판별
    ○ 방사능에 피폭된 물질의 방사선량 측정
    ○ 식품 방사선량측정
    ○ 제4기퇴적층 내의 석영 및 장석을 이용한 퇴적연대측정
    ○ 토기, 기와등 유물에 대한 제작시기 추정 등기기담당자에게 이용예약, 문의 (043-240-5333)

장비 공지사항


연관논문

원산도 해안사구 퇴적층에 대한 OSL 연대측정과 그 의미
최광희, 김종욱, 최정헌 , 변종민 , 홍성찬, 신영규, 이석조
한국지형학회지, 2008
홀로세의 해안사구 형성과 해수면 변화
최광희
서울대학교, 2009
하도 변위에 의한 폭포의 형성과 변화
이광률
대한지리학회지, 2013
충남 다사리 해안사구에 기록된 폭풍퇴적층
최광희, 장태수, 최정헌, 김윤미, 이수용
지질학회지, 2014
토색 지수의 시공간적 관계
이광률
한국지형학회지, 2015
Late Quaternary glaciation in the Nun-Kun massif, India
이수영
고려대학교, 2013
범람원에서 발견된 적색밴드에 대한 미세구조 특성: 고고학 유적층을 사례로
성영배
한국지형학회지, 2013
Late Quaternary glaciation in the Nun-Kun massif, northwestern India
이수영(Lee, Su Young), 성영배(Seong, Yeong Bae)
BOREAS, 2013
Cosmogenic 10Be and OSL Dating of Marine Terraces Along the Central- East Coast of Korea: Spatio-Temporal Variations in Uplift Rates
Soo Yong Lee, Yeong Bae Seong et al
open geography journal, 2015
Late Quaternary glaciation in the Nun-Kun massif, northwestern India
SU YOUNG LEE, YEONG BAE SEONG, LEWIS A. OWEN, MADHAV K. MURARI, HYOUN SOO LIM, HO IL YOON AND
BOREAS, 2014
Loess deposits in the northern Kyrgyz Tien Shan: Implications for the paleoclimate reconstruction during the Late Quaternary
J.H. Youn, Y.B. Seong, J.H. Choi , K. Abdrakhmatov, C. Ormukov
CATENA, 2014
슈미트해머 반발도와 OSL 연대에 기반한 둔두리 해식애의 형성과정
최광희, 성영배, 최정헌, 정필모, 이수용
한국지형학회지, 2014
Reconstruction of Holocene coastal progradation on the east coast of Korea based on OSL dating and GPR surveys of beach-foredune ridges
최광희, 최정헌, 김종욱
HOLOCENE, 2014
태백산맥 남부 동해안 하천 유역의 하안단구 지형형성
이광률
대한지리학회지, 2014
슈미트해머 반발도와 OSL 연대에 기반한 둔두리 해식애의 형성과정
최광희, 성영배, 최정헌, 정필모, 이수용
한국지형학회지, 2013
한국의 하안단구 연구
이광률
한국지형학회지, 2011
우리나라 자연 구하도의 유형별 형성시기와 형성과정
이광률
한국지형학회지, 2012
송천 하구 사주의 지형 특성과 변화 과정
이광률
대한지리학회지, 2011
유가 선상지의 지형 형성과정
이광률, 조영동
대한지리학회지, 2013
Cosmogenic 10Be and OSL dating of fluvial strath terraces along the\r\nOsip-cheon River, Korea: tectonic implications
성영배
GEOSCIENCES JOURNAL, 2011
Geomorphic Evolution of Osipcheon Basin, Korea
이수용
고려대학교, 2011
Loess sequence in the northern Kyrgyz Tien Shan: implications for the past climate change
윤지희
고려대학교, 2012
Geomorphic constraints on active mountain growth by the lateral propagation of fault-related folding: A case study on Yumu Shan, NE Tibet
Seong, Y.B., Kang, H.C., Ree, J.-H., Choi, J.-H., Lai, Zhonping, Hong, H. and Yoon, H.O.
JOURNAL OF ASIAN EARTH SCIENCES, 2011
비금도사구의 형성과정
최광희, 정필모
해안사구정밀조사, 2011
가평리사구의 형성과정
최광희, 정필모
해안사구 정밀조사, 2011
자은도 사구의 형성과정
최광희, 정필모
해안사구 정밀조사, 2010
보은 상장리유적 주거지 및 가마의; 단일시료 제현법에 의한 연대측정
정광용
보은 상장리유적, 2004
음성 하당리유적 주거지의 단일시료 제현법에 의한 연대측정
정광용
음성 하당리유적, 2004
The development and luminescence chronology of a coastal dune from Shindu dunefield, T'aean Peninsular
Munyikwa Kennedy, Jong-Wook Kim, Jeong-Heon Choi, Kwang-Hee Choi, and Jong-Min Byun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2004
포항 북부 흥해읍 일대의 해안단구 지형 특성과 단구 퇴적물 연대
김종욱, 장호완, 최정헌, 최광희, 변종민
한국지형학회지, 2005
태안군 운여 해안의 해안사구체에 대한 퇴적 및 루미네선스 연대측정
케네디 무니크와, 최광희, 최정헌, 박경, 김종욱
한국지형학회지, 2005
한반도동해안 제4기 퇴적층의 루미네선스 연대측정연구
최정헌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The resolution of stratigraphic inconsistency in the luminescence ages of marine terrace sediments from Korea.
J. H. Choi, A. S. Murray, C. S. Cheong, D. G. Hong, H. W. Chang,
Elsevier Science, 2003
Determination of slip rate by optical dating of fluvial deposits from the Wangsan fault, SE Korea. Quaternary Science Reviews
C. S. Cheng, D. G. Hong, K. S. Lee, J. W. Kim, J. H. Choi, A. S. Murray, U. Chwae, C. B. Im, C. J. C
Elsevier Science, 2004
신두리 지역의 고사구에 대한 OSL 연대 측정
서종철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005
오대천의 특성과 하안단구의 형성과정
이광률
대한지리학회지, 2009
경북 영천시 고현천의 하안단구 지형 분석
조영동, 이광률
대한지리학회지, 2009
대천지역 뢰스-고토양 연속층의 풍화특성
윤순옥, 박충선, 황상일, Toshiro Naruse
대한지질학회, 2007
전남 신안군 임자도 대광사구의 화분분석
박지훈, 최광희
한국고생물학회지, 2010
대청도 옥죽동 해안사구의 지형특징 및 발달과정에 관한 고찰
박천영, 최광희, 김종욱
한국지형학회지, 2010
Geomorphic constraints on active mountain growth by the lateral propagation of fault-related folding: A case study on Yumu Shan, NE Tibet
성영배(Seong, Yeong Bae), 최정헌, 윤혜온 외 3인
Journal of Asian Earth Sciences, 2011
Re-evaluation of the chronology of the palaeolithic site at Jeongokri, Korea, using OSL and TT-OSL signals from quartz
Kim, J.C., Duller, G.A.T., Roberts, H.M., Wintle, A.G., Lee, Y.I., Yi, S.B.
Quaternary Geochronology, 2010
퇴적물 내 석영의 광여기 루미네선스 특성과 미량원소 조성
정기영, 최정헌, 길영우
한국광물학회지, 2010
Vertebrate burrows in late Pleistocene paleosols at Korean Palaeolithic sites and their significance as a stratigraphic marker
Lim, H. S., Lee, Y. I., Yi, S., Kim, C.-B., Chung, C.-H., Lee, H.-J. and Choi, J. H.
Quaternary Research, 2007
Coastal dune luminescence chronologies indicating a Mid-Holocene Highstand along the East coast of the Yellow Sea
Munyikwa, K., Choi, J. H., Choi, K.H., Byun, J.M., Kim, J.W., Park, K
Journal of Coastal Research, 2008
제주 사계해안의 지형시스템
서종철,손명원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007
Anthropogenic Geomorphological Changes during the Last Century in the Kangneung Area along the East Coast of Korea
최광희
Journal of Coastal Research Special Issue, 2007
울진 후정-죽변 일대의 해안단구 퇴적물에 대한 OSL 연대측정
김종욱, 장호완, 최정헌, 최광희, 변종민
한국지형학회지, 2007
경주시 양남-양북 일대의 해안단구 지형특성과 단구 퇴적물에 대한 OSL 연대측정
김종욱, 장호완, 최정헌, 최광희, 변종민
한국지형학회지, 2007
Late-Holocene palaeoclimatic change at the Dongnimdong archaeological site, Gwangju, SW Korea
임현수, 정철환, 김정빈, 이용일, 이헌종, 이영철
The Holocene, 2007
Vertebrate burrows in late Pleistocene paleosols at Korean Palaeolithic sites and their significance as a stratigraphic marker
임현수, 이용일, 이선복, 김정빈, 정철환, 이헌종, 최정헌
Quaternary Research, 2007
Late-Holocene palaeoclimatic change at the Dongnimdong arachaeological site, Gwangju, SW Korea
Lim, H. S., Chung, C.-H., Kim, C.-B., Lee, Y. I., Lee, H. J. and Lee, Y. C.
The Holocene, 2007
The sedimentology and luminescence chronology of a coastal dune sequence at Unyo Beach, Taean-Gun
케네디무니크와, 최광희, 최정헌, 박경, 김종욱
한국지형학회지, 2005
The sedimentology and luminescence chronology of a coastal dune sequence at Unyo Beach, T’aean-Gun
케네디 무니크와, 최광희, 최정헌, 박경, 김종욱
한국지형학회지, 2005
Development and luminescence Chronology of a Coastal Dune from the Shindu Dunefield, Taean Peninsula
케네디 무니크와, 김종욱, 최정헌, 최광희, 변종민
대한지리학회지, 2004
Distribution of Stream Incision Rates in the Northern Part of the Taebaek Mountains
이광률
한국지형학회지, 2018
소백산맥 북부 영동영서 하천의 하각과 지형 발달
이광률
한국지형학회지, 2017
A zero-thermal-quenching phosphor
Yoon Hwa Kim, Paulraj Arunkumar, Bo Young Kim, Sanjith Unithrattil, Eden Kim, Su-Hyun Moon, Jae Young Hyun, Ki Hyun Kim, Donghwa Lee, Jong-Sook Lee and Won Bin Im
NATURE MATERIALS, 2016
Geochronology and sedimentary environment at the Udu-dong archeological site, Chuncheon, South Korea
신승원, 박용희, 최정헌, 임현수, 신숙정, 정대교
HOLOCENE, 2018
Evaluating the life expectancy of a desert pavement
Yeong Bae Seong
EARTH-SCIENCE REVIEWS, 2016
Incision Rates of Mountain Streams in the Southern Part of the Taebaek Mountain Ranges
이광률
한국지리학회지, 2019
Incision Rate Distribution of Streams on the Northern Part of the Sobaek Mountain Range
이광률, 박충선
한국지형학회지, 2020
Comparison of Uplift Rate in the South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이광률, 박충선
한국지형학회지, 2019
Paleo-shoreline changes in moraine dammed lake Khagiin Khar, Khentey Mountains, Central Mongolia
Jeong Sik Oh, Yeong Bae Seong, Seongchan Hong, Byung Yong Yu,
Journal of Mountain Science, 2019
Uplift Rate Map and Distribution of Uplift Rate in the East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이광률, 박충선
한국지형학회지, 2020
Fluvial Terrace and Incision Rate in the Middle Sobaek Mountain Range
이광률, 박충선
한국지형학회지, 2021
Uplift Rate in the Eastern Block of the Ulsan Fault
이광률, 박충선
한국지형학회지, 2020
Incision Rate Distribution of Streams on the Northern Part of the Sobaek Mountain Range
이광률, 박충선
한국지형학회지, 2020
Formative Age and Process on Basalt of Lava Plateau in the Cheolwon and Yeoncheon Areas, Central Korea
이민부, 성영배, 이광률
한국지형학회지, 2020
Experimental investigations on dating the last earthquake event using OSL signals of quartz from fault gouges
Kim, J. H., Ree, J.-H., Choi, J.-H., Chauhan, N., Hirose, T., Kitamura, M.,
TECTONOPHYSICS, 2019
Analysis on Surface Relief of Granitic Erosional Basin in the Middle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이광률·박충선·김주연·이해빈·정지윤
한국지형학회지, 2022
Changes of Shorelines and Processes of Coastal Landforms in Sinjido Island during the Late Quaternary
이광률
한국지형학회지, 2023
Process of fluvial terraces and evolution of stream during the late quaternary in the downstream of the Namhangang river
Gwang-Ryul Lee
지질학회지, 2023
Holocene Sea Level Change and Geomorphic Process of the Uihang Coast in Taean
이광률
한국지형학회지, 2021
대한지리학회지
김동은, 성영배
대한지리학회지, 2021
우리나라 화강암 침식 분지 내 선상지의 형성 시기
이광률
한국지형학회지, 2022
Russian Geology and Geophysics
C.H. Lee, Y.B. Seong, J.-S. Oh
Russian Geology and Geophysics, 2021
Distribution of stream incision rate in the Southern Sobaek Mountain Range
이광률, 박충선
대한지질학회지, 2022

이용자 리뷰


분석지원 상담센터 분석지원 상담센터
분석지원 상담센터 - 상담분야, ARS, 상태 항목으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상담분야 ARS 상태
바이오 분야

1

부재
소재 분야

2

부재
환경 분야

3

재실
총괄/기타

4

재실